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신청방법 및 난방비 절약 꿀팁(난방비절약도하고 현금도 지원받으세요~)

by 모네타 2023. 12. 11.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제도를 아시나요? 주택 난방용 도시가스 사용자를 대상으로 가스 사용량을 절약하면 절감량에 따라 현금으로 돌려주는 제도를 말합니다. 오늘은 도시가스 난방비 절약도 하고 현금도 지원받는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에 대해 상세히 알려드립니다

 

난방비_지원

 

 

겨울철만 되면 난방비 폭탄으로 도시가스 요금 고지서 보기가 두려운 분들 많으실 겁니다.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제도 적극 활용하여 난방비도 절감하고 현금도 지원받는 1석2조의 효과를 누려보세요~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는 꿀팁도 안내해 드립니다.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제도란?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제도란 주택 난방용 도시가스 사용자를 대상으로 동절기 기간 도시가스 사용량 감축을 위해 운영하는 제도로 동절기(12월~익년 3월) 기간 동안 전년도 사용량 보다 3% 이상 절약하면 절감량에 따라 현금으로 돌려주는 제도입니다.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대상자

 

주택난방용(개별난방/중앙난방) 도시가스 요금제 사용자라면 누구나 참여가능합니다

※단, 취사용은 제외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절감기간 및 신청기간

 

구분 절감기간 비교기간
기간 '23.12월 ~ `24.03월 
*24.01월~24.04월 고지서발행분
'22.12월 ~ `23.03월
*23.01~23.04월 고지서발행분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신청기간은 2023.12월부터 2024.03월까지 입니다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지급기준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지급기준은 전년 동기간 대비 난방용 도기사스 사용량을 3% 이상 절감시 절감률에 따라 현금을 차등 지급하며, 절감률이 높으면 높을수록 캐시백 지급단가가 높아집니다.

 

구분 3%이상~10%미만 10%이상~20%미만 20%이상~30%미만
캐시백 지급단가 50원/㎥ 100원/㎥ 200원/㎥

 

 

▶12월~3월까지 동절기 기간 가구당 평균 400㎥ 사용기준 (가스요금 364,500원) 기준으로 절감액을 계산해 보면

절감률 요금절감액 캐시백 최종절감액 예상요금
5% (20) 18,200원 1,000원 19,200원 345,300원
10% (40㎥) 36,400원 4,000원 40,400원 324,100원
20% (80㎥) 72,900원 16,000원 88,900원 275,600원

 

※혹시 캐시백이 적다고 실망하셨나요? 하지만 캐시백뿐만 아니라 가스를 절약하게 되면 가스요금도 자연스럽게 절감되는 것이니 1석2조입니다. 올해는 걱정없이 따뜻하게 겨울을 보내 보자고요!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신청방법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신청은 k-가스캐시백 사이트에 회원가입이 완료됨과 동시에 캐시백 신청이 완료됩니다.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은 개별난방 사용자뿐만 아니라 중앙난방 사용자도 신청이 가능합니다

 

*개인회원(개별난방 사용자)_1인 1고객식별번호만 신청가능

*단체회원(중앙난방 사용자)_공동주택 관리사무소, 입주자 대표회의 등에서 신청

 

도시가스절약캐시백

 

 

k-가스캐시백 사이트에 회원가입시 준비 서류

*개인회원 : 도시가스 고지서 및 계약자 정보제공동의서(가입자와 도시가스 계약자가 다른 경우)

*단체회원 : 사업자등록증(고유번호증), 법인 통장사본, 도시가스 고지서(가장 최근 발행된 고지서 1부)

 

 

 난방비(가스) 절약하는 방법(꿀팁)

 

가스 절약 어렵지 않아요! 겨울철 실내온도를 1℃만 낮춰도 7%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조금만 신경 쓰면 난방비 걱정없이 따뜻한 겨울을 보낼 수 있습니다. 

 

실내 적정 난방 온도 18~20℃  설정하기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20℃ 에서 1℃씩 올라갈 때마다 난방비가 15% 이상 상승하게 되며, 높은 온도로 난방을 하다가 덥다고 느껴 보일러를 껐다가 재가동시키는 경우에 가스 소비량이 큽니다.
실내 난방온도를 1℃만 낮게 설정해도 에너지 소비량을 7%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적정 습도 40~60% 유지하기

실내에서 적정 습도 40~60%를 유지하면 열 전달이 빨라져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가습기나 젖은 수건을 이용해서 적정 습도로 생활해 보세요!

 

온수 사용 이후 냉수 쪽으로 수도꼭지를 돌리기

온수를 사용한 이후에  수도꼭지 방향을 온수 쪽으로 돌려놓으면 물을 데우기 위해 불필요한 공회전이 발생하므로, 온수 사용을 한 후에는 반드시 냉수 쪽으로 수도꼭지를 돌려놓으세요!

 

사용하지 않는 방  보일러 난방 밸브 조정 및 외출모드 활용

사용하지 않는 방의 밸브는 잠그고, 주 차단(메인) 밸브를 일부 닫힘 위치로 조절해 주세요! 또한 난방을 하지 않는 방에는 문을 닫아 두어 열 손실을 방지합니다. 외출하실 때는 '외출모드'로 설정하세요!

 

이 밖에도  실내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더 중요하므로, 외부의 찬 기운이 실내로 들어오지 않도록 이른바 뽁뽁이라 불리는 에어캡이나 커튼, 카페트, 난방텐트 등 을 활용하면 실내 온도를 지속시켜 주는 효과가 있어 난방으로 인한 도시가스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내복, 히트텍 등 기능성 발열내의 및 수면바지, 수면양말 등 보온 용품을 착용하면 체감온도는 3도 이상 올라갑니다. 또한 샤워시간을 5분 줄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오늘은 겨울철 난방용 도시가스 사용량을 절약하면 현금을 지원하는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제도를 알려드렸습니다. 가스 절약 꿀팁을 활용하여 난방비 절감도 하시고 현금도 돌려받으세요!!

 

 

댓글